지방채 1조원...빚더미 인천 아시안게임

2014년 10월 07일 23시 55분

인천 아시안게임이 지난 4일 막을 내렸다. 인천시는 보도자료를 통해 스스로 이번 대회를 성공리에 치렀다고 평가했다.

과연 이번 아시안게임은 성공적으로 끝난 것일까?

1.매진 경기장의 빈 관중석

지난달 30일, 육상경기가 열린 인천 아시아드 주경기장. 온종일 포환던지기와 장대높이뛰기 등 다양한 종목에서 열띤 경기가 펼쳐졌고 우리 선수도 출전했지만 관중석은 많이 비어 있었다.

이틀 뒤 남녀 다이빙 경기가 열린 문학박태환 수영장에서는 관중석이 비어있는 데도 표가 매진돼 경기를 보러 온 시민들이 매표소 앞에서 발길을 돌리는 일도 벌어졌다.

2014100703_01

왜 이렇게 된 것일까?

이번 아시안게임을 후원한 대기업들은 적게는 수천만 원에서 많게는 수억 원어치 씩 입장권을 일괄 구매했다. 표가 팔리지 않을 것을 우려한 조직위의 요청에 해당 기업들이 응했지만 막상 공짜표를 받은 직원이나 고객들이 경기장을 찾지 않은 것이다.

후원 기업들이 표를 일괄 구매해준 덕에 조직위는 입장권 판매 목표액 280억 원(최초 목표 350억에서 수정)에 거의 근접하는 270억 원의 수익을 올릴 수 있었지만 경기를 보러 온 시민들은 자리가 없어 다시 돌아가야 했다.

2014100703_02

이번 대회를 후원하며 입장권을 대량 구매한 한 대기업 홍보팀 관계자는 “(직원들이 갔는지 안 갔는지를) 어떻게 확인하나. ‘너 갔냐’며 일일이 체크할 수가 없다"고 말했다.

2.70만원짜리 개막식 프리미엄석 국회의원들에게도 뿌렸다.

입장권은 여야 국회의원들이나 시민단체 등에 공짜로 뿌려지기도 했다. 국회 의원실의 한 보좌관은 “우리 의원실 말고도 한 의원실이 같이 (표를) 받은 것으로 안다"며 공짜 티켓이 뿌려졌다고 증언했고 인천연대 이광호 사무국장도 “개막식 전날 인천시로부터 70만 원짜리 개막식 프리미엄 티켓을 공짜로 주겠다는 연락을 받았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인천 아시안게임 조직위원회 측은 “(표를) 열심히 팔았지만 다 팔지 못해 시민 서포터즈 등을 초청했다"고 말했다.

3.새 경기장 짓고 떠안은 1조 480억 원의 부채

이렇게 공짜표를 남발할 정도로 이번 대회의 수익성이 좋은 것일까?

안민석 의원실이 인천시로부터 받은 자료를 보면 이번 아시안게임을 위해 인천시는  주경기장을 비롯한 26개 경기장을 신축하거나 보수하는 데만 총 1조 5,553억 원을 썼다. 이 중 4,672억 원을 들인 아시아드 주경기장은 기존에 있던 인천 문학경기장을 수리, 보수해 활용하라는 정부의 권고를 무시하고 인천시가 새로 지은 것이다.

2014100703_03

4.토지 수용에만 6,235억원 세금 지출

주경기장을 비롯해 아시안게임 경기장이 새로 들어선 땅은 대부분 그린벨트로 개발이 제한됐던 곳들이지만 아시안게임으로 인해 대거 수용됐다. 뉴스타파가 인천시에 정보공개 청구를 통해 경기장 부지 토지수용 내역 및 매입 금액을 확인한 결과, 안상수 전 인천시장이 아시안게임 유치를 공약으로 내걸고 당선된 2006년 이후 토지 수용 대상지의 땅을 산 사람들은 69명으로 확인됐다. 아시안게임이 아니었다면 이들이 팔리지 않는 그린벨트 땅을 살 이유는 없었다.

인천시는 이들이 사들인 땅을 포함해 새 경기장을 짓기 위한 토지를 수용하는데 지방예산과 국비를 포함, 총 6,235억 원의 세금을 지출했다.

토지 매입비와 경기장 건설비 등을 충당하기 위해 인천시가 발행한 지방채 원금은 1조 480억 원이다. 인천시는 내년부터 매년 수백억 원의 원금과 이자를 갚아나가야 한다.

2014100703_04

경기장들이 앞으로 잘 활용될지도 미지수다. 16개 신축 경기장을 포함한 26개 경기장의 사후관리비가 매년 400억 원 정도 들어갈 것으로 추정되지만 정작 경기장을 어떻게 활용할 것인지 결정된 것은 없다. 인천시는 신설 경기장 활용을 위해 10월 중에 T/F팀을 구성할 계획이다.

아시안게임이 남긴 거대한 빚은 결국 시민들이 부담할 수밖에 없다. 인천 계산동에 사는 이봉철 씨는 “(대회를 치르는데) 돈이 이렇게 많이 들어가고. 이게 다 시민의 혈세인데. 아무래도 엄청난 적자를 복구하려면 힘들 것"이라고 우려했다.

인천시 아시아경기대회지원본부에서 예산을 담당하고 있는 관계자는 “아시안게임이 수익을 내려고 하는 것이 아니다"라고 말하며 “적자는 시민들의 책임이다. 시의 주인은 시민이다"라고 해 대회를 치르며 남은 막대한 적자의 책임을 시민들에게 돌리는 모습을 보였다.

2014100703_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