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8개월 간 미국 트럼프 정권과 북한 김정은 정권의 대치 속에서 한국인들은 대체로 이번 북핵 위기 또한 과거의 경우처럼 지나갈 것이라고 여기며 일상을 유지했다. 하지만 필자는 이 같은 평온함이 어제(9월 20일) 있었던 트럼프 대통령의 유엔총회 연설을 계기로 끝나야 한다고 본다. 연설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이 위협받으면 북한을 완전히 파괴시키지 않는 방법 외엔 선택지가 없다”고 전세계에 선포했다.
인구 2500만의 북한에 대한 이같은 집단 학살 위협은 최근 몇 주 사이에 워싱턴에서 보편적인 의견으로 자리잡았다. 북한 주민 중 다수가 남한에 가족과 친척을 두고 있는데도 말이다. 이른바 ‘북한을 전멸’시킬 수 있는 ‘군사옵션’이란 발상은 현재 허버트 R. 맥매스터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부터 짐 매티스 국방부 장관까지 미 정부 내부에 견고하게 자리잡았고, 이는 미국 미디어와 케이블뉴스 채널 내에 포진한 다수의 전쟁 선동자들을 통해 확산되고 있다. 필자는 트럼프와 그 일당이 이 같은 군사 위협을 진지하게 고려하고 있다는 사실을 한국 정부와 국민들이 깨닫지 못한다면, 셀 수 없이 많은 목숨을 앗아갔던 한국전쟁 때보다 더한 위기를 겪게 될 수도 있다고 강조하고 싶다.
9월 20일 트럼프의 유엔 연설은 이미 미국의 여러 반전평화단체의 분노를 샀을 뿐만 아니라, 이들 단체에 또 다른 동력을 제공하기도 했다. 트럼프의 공격적인 발언 이후 불과 몇 시간 안에 미국 내 반전단체 세 곳은 그의 위협적 발언을 규탄하고 긴급 대책을 촉구했다.
‘크레도액션(Credo Action)’, ‘윈위드아웃워(Win Without War)’와 ‘무브온(MoveOn)’ 등 반전단체 세 곳은 성명에서 “미국 정부는 비극적인 전쟁으로 치닫는 상황을 막고, 외교적으로 북한 위기를 풀어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이들 단체는 또 “전쟁이 일어난다면 한반도와 주변 지역에 주둔하고 있는 한-미-일 3국의 병력 수백만 명의 목숨을 앗아갈 가능성이 크다”며 “제2차 세계대전 이래 유례없는 인도주의적 위기를 촉발”할 수도 있다고 경고했다. 미국 내 몇몇 반전평화단체들은 현지시간 수요일 유엔 본부 앞에서 항의 시위를 진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편, 지난 2015년 남북한 국경 비무장지대(DMZ)를 걸어서 건너 화제가 된 글로벌 여성평화단체 ‘위민크로스 DMZ(Women Cross DMZ)’는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사무총장에게 북핵 위기를 풀어낼 외교적 방법을 이끌어 낼 수 있는 한국 특사를 임명하도록 촉구하는 서한을 작성 중이라고 밝혔다. 이 단체의 창립자 크리스틴 안(한국명 안은희)은 뉴스타파와의 인터뷰에서 남북한의 여성단체들이 이 서한을 지지해주기를 희망한다고 전했다. 안 씨는 “우리 여성들이 단합하고 연대해야 할 시점이 있다면 그것은 바로 지금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저명한 평화 연구단체인 미국 군축협회의 대릴 G. 킴벌 협회장 또한 미리 준비한 성명에서 트럼프 대통령을 비판했다. 킴벌 협회장은 “제재 압력과 미국의 호전적인 핵 위협이 북한으로 하여금 대미 전략의 방향을 바꾸도록 만들 수 있을 거라 생각한다면 상당히 순진한 발상”이라고 우려를 표했다.
트럼프가 대북 전략의 초점을 외교에서 전쟁으로 선회한 계기는 지난 8월 진행된 을지프리덤가디언(Ulchi Freedom Guardian, UFG) 한미합동군사훈련이었다. 이 훈련이 진행되기 전 김정은은 당초 계획했던 괌 미사일 발사 계획을 취소했다. (괌은 해당 연습 중 B1-B 전략 폭격기가 발사되는 곳이다.) 그리고 다음 군사 행동을 개시하기 전까지 ‘양키들’의 행동을 지켜보겠다고 선언한 바 있다. 이 결정은 트럼프가 김정은에 대해 ‘현명하고 합리적인 결정’이었다는 칭찬의 메시지가 담긴 트윗을 날리는 등 긍정적인 반응을 이끌어내는 계기가 됐다. 아마도 이 때문에 미국방부가 UFG 연습에 동원된 미군 숫자를 지난해의 2만5000명에서 1만7500명으로 슬그머니 축소시켰을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북한 지도부에 대한 참수 공격 등 UFG 훈련의 핵심 요소는 여전히 진행됐다. 이 점이 북한이 일본 홋카이도 상공을 지나는 두차례 미사일 시험 발사를 촉발시킨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지난 9월 2일 북한은 사상 최대 폭발력의 6차 핵실험을 감행했다. 상황이 급박하게 돌아가자 맥매스터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은 “북한이 핵 무기를 이용해 미국을 위협하는” 행동을 차단하는 목적의 이른바 “예방적 전쟁”의 가능성에 대해 공개적으로 언급하며 미국의 대북 정책이 중요한 변화를 맞이할 것을 예고했다. 맥매스터 보좌관은 지난 2007년 이라크 반군과의 전쟁을 이끌어 유명해진 퇴역 장성이다.
북한 군사 전문가들이 수 개월간 예측해왔던 이번 6차 핵 실험 또한 트럼프의 도를 넘어선 발언을 촉발시킨 것으로 보인다. 핵 실험 소식을 듣고 몇 시간 동안 트럼프는 트위터를 통해 문재인 대통령에 대해 모욕적인 발언을 쏟아냈다. 당시 트윗은 한국이 주장해왔던 “북한을 달래기 위한 대화 전략은 통하지 않을 것”이며 “대화는 해답이 될 수 없다”고 선언했다. 당일 트럼프와 회동을 가진 이후 매티스 국방장관 또한 발언 수위를 높여 북한이 어떠한 ‘공격’ 시도를 하든 미국이 “완전히 전멸시킬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미국이 이 같은 상황을 실제 ‘검토’하고 있진 않지만 “그렇게 할 수 있는 여러가지 옵션이 마련돼 있다”고 말했다. 이 같은 시나리오에서 북한의 선택지는 모든 핵 무기를 포기하거나, 미국의 분노에 맞서는 것 뿐이다.
심지어 과거 대북 협상을 담당했던 미국 인사들도 북한이 먼저 비핵화 선언을 하지 않는 이상 현재의 상황에서 대화는 소용 없다는 입장에 동의하는 모양새다. 비핵화는 과거부터 수차례 대화의 전제 조건으로 제시되어 왔다. 2005년부터 2009년까지 진행된 6자 회담에서 미국 측 수석대표를 지냈던 크리스토퍼 힐 전 미국 국무부 동아태담당 차관보는 지난 9월 18일 워싱턴DC에서 미일연구소(US-Japan Research Institute) 주최로 열린 한 포럼에서 북한과의 대화 조건으로 비핵화를 내거는 것은 북한이 지난 2005년 대화 테이블에서 동의했던 현상 유지 상태로 되돌리는 것이기 때문에 자연스러운 일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당시 2005년 6자 회담 공동성명에서 이미 북한이 “6자 회담 상대였던 5개국 모두와 비핵화하기로 합의”했기 때문에, 북한에 비핵화 선언을 또다시 요구하는 것은 “전제 조건이 될 수 없다”고 주장했다. (트럼프에 대한 힐의 유일한 비판은 “한국인들을 유화론자라고 비판하는 것은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점이었다.)
[caption id="attachment_41477" align="aligncenter" width="923"]
▲크리스토퍼 힐 전 미국 국무부 동아태담당 차관보가 참석한 포럼 패널토론 모습.[/caption]
같은 날 매티스 국방장관은 기자들에게 펜타곤이 “한국을 북한의 반격이라는 중대한 위기에 노출”시키지 않으면서도 전개할 수 있는 군사 옵션을 고려하는 중이라며, 북한에 대한 비핵화 압력을 강화하는 발언을 했다. 이는 그가 지난 5월 한반도에 또다시 전쟁이 일어난다면 “큰 참사”가 될 수 있으며 “인류 역사상 최악의 싸움이 될 것”이라는 발언 등 수차례 해왔던 과거 주장과 크게 대치된다.
지난 주말, CNN의 펜타곤 출입기자 바바라 스타는 매티스 장관의 잠재적 북한 타격 계획에 대한 전현직 관료들의 분석과 전망을 종합해 보도했다. 스타 기자는 북한의 미사일 기지는 물론, DMZ 북단에 배치된 수천 문의 재래식 대포를 목표로 하는 일주일 정도의 공습 계획에 대해 설명했다.
스타 기자는 “미국 관료들은 자신들이 김정은의 무기고 위치를 인지하고 있다고 믿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펜타곤 내부에서는 이번 공습 중 정찰 위성에서 포착되는 모든 무기를 파괴하기 위해서는 일주일 또는 그 이상 복잡한 공중 폭격과 크루즈(순항) 미사일 폭격을 지속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해당 기사는 대부분의 공습은 일본 이와쿠니 미 해군기지에 대기 중인 스텔스 전투기 US F-35를 이용해 진행될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고 밝혔다. 이들 스텔스 전투기는 북한에 대한 무력 시위의 일환으로 괌에 배치된 장거리전략폭격기 B1-B 와 함께 한반도 상공을 비행한 적이 있다.
사실, 미국이 군사 옵션으로 돌아선 또 다른 요인은 일본과 트럼프의 관계다. 북한 문제와 관련해선 트럼프의 가장 친한 친구이고, 위기가 있을 때마다 트럼프가 가장 먼저 전화 통화를 하는 대상은 바로 일본 총리 아베 신조다. 일본 열도 너머로 지나간 북한 미사일에 놀란 아베와 그의 지지자들은 트럼프가 북한에 더욱 공격적인 태도를 취하도록 촉구하고 나섰다. 지금까지 필자가 워싱턴DC에서 관찰한 결과, 이들은 미국의 대북정책에 영향력을 행사하기 위해 배후에서 강력한 활동을 다시 시작했다.
트럼프의 유엔 연설 전날, 아베는 여러가지 제재를 통해 북한의 핵 프로그램을 단념시킬 수 없다면 군사적 조치도 해법이 될 수 있다는 내용, 즉 미국의 군사 공격 옵션을 암묵적으로 지지하는 취지의 다소 이례적인 기고문을 뉴욕타임스에 내보냈다. 해당 칼럼에서 아베는 “필자는 테이블에 모든 옵션을 올려두고 고려한다는 미국의 입장을 확고히 지지한다”고 주장했다.
비슷한 일본 측의 주장은 힐 전 미국 국무부 동아태담당 차관보가 참석했던 포럼에서도 등장했다. 해당 포럼의 발표자로 나선 미토지 야부나카 전 6자회담 일본 수석대표는 수많은 미국 국민들이 북한이 결국 비핵화에 나설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을 “비현실적”인 발상이라고 보고 있다는 소식을 접했다며, 미국은 북한의 무기 전반을 통제하는 데 집중해야 한다고 발언했다.
[caption id="attachment_41476" align="aligncenter" width="1000"]
▲크리스토퍼 힐과 미토지 야부나카.[/caption]
그는 대화가 “미국의 국익에는 충분”할지 모르지만 일본으로서는 받아들일 수 없는 것이라고 지적하며, “일본은 이미 위협에 직접적으로 노출돼있기 때문에 그것이 해결책이 될 수 없다”고 말했다. 그는 또 모든 대북 협상의 “목적은 확실히 비핵화여야 한다”며, “그런 측면에서 나는 트럼프가 군사 옵션 방침을 고수한다는 소식에 크게 고무됐다”고 덧붙였다. 야부나카의 이번 발표는 일본 단체인 미일연구소가 준비했고, 유명 싱크탱크인 ‘카네기 국제평화재단(Carnegie Endowment for International Peace, CEIP)’에서 진행됐다.
한국이 또다시 전쟁에 휘말리는 것을 피하고 싶다면, 문재인 대통령은 트럼프와 아베가 무력 옵션 카드를 고수해 실제 북한과 심각한 군사 충돌로 이어지기 전에 위기 상황에서 주도권을 잡기를 원할 거라고 나는 생각한다. 전쟁은 남북한 모두에 재앙만 불러올 뿐이다.
※ 기사 원문(영어) 보기 | See original version(EN)
During the past eight months of confrontation between the Trump administration and the Kim Jong Un government in Pyongyang, South Koreans have for the most part been going about their daily business with the thought that this crisis, like others before, will pass. But in the view of this American observer, that complacency should end after the speech Trump delivered today to the UN General Assembly, where he put the world on notice that, unless Kim (or “Rocket Man,” as he derisively calls him) gives up his nuclear weapons, “we will have no choice but to totally destroy North Korea.”
This threat of inflicting genocide against a country with 25 million people, many of them with family and relatives in South Korea, has in recent weeks become conventional thinking in Washington. From H.R. McMaster, Trump’s national security adviser, to Secretary of Defense Jim Mattis, the idea of a “military option” that could “annihilate” the North is now firmly entrenched within government and being echoed by the many war propagandists in the US media and cable news. I conclude that, unless the South Korean people and their government wake up to the fact that Trump and his gang are serious about their threats, they may face a crisis worse than the 1950-1953 war that took the lives of an untold number of Koreans.
Already, Trump’s speech today has angered and energized US peace groups. Hours after Trump’s belligerent appearance at the UN, three organizations condemned his threats and issued an urgent call for action. “We need to stop this slow roll toward a catastrophic war, and work towards defusing the North Korean crisis diplomatically,” said Credo Action, Win Without War and MoveOn. They warned that “war on the Korean peninsula would likely kill millions of Koreans, Japanese, and American troops stationed in the region” and “inflict a humanitarian crisis not seen since World War II.” Several groups plan to demonstrate at the UN on Wednesday.
Meanwhile, “Women Cross DMZ,” the global women’s peace organization that traveled across the North and South Korean border in 2015, is drafting a letter to UN Secretary-General Antonio Guterres urging him to appoint a special envoy to Korea to seek a diplomatic solution to the crisis. The group hopes to get North and South Korean women’s groups to endorse the letter, Christine Ahn, the organization’s founder, told Newstapa. “If there were ever a clarion call for us to get organized and mobilized, it is now,” she said. In a prepared statement, Daryl G. Kimball of the Arms Control Association, a prominent peace research group, criticized Trump as well. “It is naive to think that sanctions pressure and bellicose U.S. threats of nuclear attack can force North Korea to change course,” he said.
The shift in Trump’s focus from diplomacy to war began during the US-South Korean “Ulchi Freedom Guardian” war games in August. Shortly before they began, Kim Jong Un cancelled plans to shoot missiles towards the US military base on Guam (where the B1-B bombers that fly during the exercises are based) and declared that he would carefully watch the “Yankees” before making his next move. This elicited a positive response from Trump, who praised Kim’s “wise and well reasoned decision” in a tweet. Possibly in response, the Pentagon quietly reduced the number of US troops involved in the exercises, from 25,000 in 2016 to 17,500 this year.
But the key elements of the exercises, including training in “decapitation strikes” on the North Korean leadership, remained. That apparently triggered the North’s decisions to go ahead with another series of missile tests, including the two shots fired over the Japanese island of Hokkaido. Then, on September 2, it tested its sixth – and largest - nuclear bomb. With the situation escalating, McMaster, a retired general who became famous in 2007 for leading the US counterinsurgency war in Iraq, signaled a change in US policy by speaking openly of a “preventive war” aimed at stopping “North Korea from threatening the United States with a nuclear weapon.”
The nuclear test, which experts on North Korea’s military had predicted for months, also seemed to push Trump over the edge. A few hours after he learned of the explosion, he insulted President Moon Jae-in by tweeting that South Korea’s “talk of appeasement with North Korea will not work,” and declaring that “talking is not the answer!” After meeting with Trump that day, Secretary of Defense Mattis escalated the rhetoric, saying that any “aggression” from North Korea would end with its “total annihilation.” Although the US is “not looking” for that, he added, “we have many options to do so.” North Korea’s only option in this scenario is giving up all of its nukes, period; or face US wrath.
Even past US negotiators with North Korea seem to agree that talks with North Korea are useless unless Pyongyang first agrees to denuclearize – a precondition it has rejected many times in the past. On Monday, Christopher Hill, who was the chief US negotiator during the Six Party Talks from 2005 to 2009, told a Washington forum organized by the corporate-funded US-Japan Research Institute that imposing that condition was only natural because it would return North Korea to the status quo it agreed to in 2005. In the declaration that year, Pyongyang “agreed to denuclearization with all five partners,” he said. Therefore, demanding North Korea repeat that pledge is “not a precondition, he said (in his only criticism of Trump, Hill stated that “it’s not very helpful to call South Koreans appeasers.”)
Also on Monday, Mattis increased the pressure on Pyongyang to force denuclearization when he told reporters that the Pentagon was considering military options that somehow would not “put South Korea at grave risk of counterattack” from the North. This marks a significant difference from his past statements, including his assertion last May that a war on the peninsula would be “catastrophic” and “probably the worst kind of fighting in most people's lifetimes.”
Last weekend, Barbara Starr of CNN, one of the Pentagon’s favorite correspondents, provided details from “current and former administration officials” about Mattis’ potential strike plan. She described a week-long air campaign that would not only target North Korean missile sites but the thousands of conventional artillery North Korea has placed just north of the DMZ.
“Internal Pentagon estimates calculate it could take a complex air bombing and cruise missile campaign a week or more to destroy whatever weapons can be found from satellite surveillance, although US officials believe they know where much of his weapons inventory is located,” she wrote. Many of the attacks, she said, would be carried out by US F-35 stealth fighter jets, which are based in the US Marine Base in Iwakuni, Japan. They often fly to Korea in formation with B1-B bombers from Guam as a show of force to Pyongyang.
Indeed, the Japanese connection to Trump may be another factor in the US tilt towards military force. Trump’s closest confidante on North Korea – and the man he inevitably calls first during every crisis – is Prime Minister Shinzo Abe. Frightened by the missile tests over their islands, Abe and his supporters have rallied behind Trump’s more militant posture towards Pyongyang and, as I observed this week in Washington, are making a strong, renewed effort behind the scenes to influence Washington’s policy on North Korea.
On Monday, one day before Trump’s speech, published an unusual op-ed in The New York Times tacitly endorsing the idea of a military attack if sanctions fail to dissuade North Korea from its nuclear program. “I firmly support the United States position that all options are on the table,” he wrote. Similar assertions were by Japanese speakers at the Monday forum where Mr. Hill spoke. Mitoji Yabunaka, the former Japanese negotiator at the Six Party Talks, noted that he has heard many Americans argue that it’s “not realistic” to think North Korea will denuclearize, and that the US should concentrate on managing North Korea’s arsenal.
That “might suffice US interests,” but is unacceptable to Japan, he said. “We are already being [threatened], so that doesn’t work for Japan.” “The objective” of any negotiations “must be clear – denuclearization,” Yabunaka said. “In that sense, I’m encouraged that Trump is sticking to that.” His presentation was organized by the Japanese organization but took place at the Carnegie Endowment for International Peace, a well-established think tank.
If South Korea wants to avoid entanglement in a war, President Moon, in the opinion of this observer, may want to seize leadership of the crisis before Trump and Abe insist on a solution that could lead to a serious military confrontation with North Korea. Such a war can only lead to disaster for all Koreans, no matter which side of the DMZ they are on.
취재 및 사진촬영: 팀 셔록
번역 : 김지윤